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2019년 1회
    산업안전산업기사 2021. 10. 5. 23:13

    1.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 작업 시작 전 점검사항 3가지

    1.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2.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3.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2. 산업재해예방 4원칙

    1. 예방가능의 원칙 : 재해는 원인만 제거하면 예방가능하다.

    2. 원인연계의 원칙 : 재해는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이 연계되어 일어난다.

    3. 대책선정의 원칙 : 사고의 원인에 대한 대책이 선정되어야 한다.

    4. 손실우연의 원칙 : 사고의 결과 생기는 상해 종류와 정도는 우연히 발생한다.

    *예원대손 으로 외움  예원이가 (주식으로) 크게 손해를 입음 

     

     

    3. 교류아크용접기에 설치하여야 하는 방호장치명

    자동전격방지기

     

     

    4. 안전관리 조직의 형태 3가지

    1. 라인형

    2. 스태프형

    3. 라인스태프형

     

     

    5. 적합한 방호장치 종류

    1. 예초기 : 날접촉 예방장치

    2. 원심기 : 회전체 접촉 예방장치

    3. 공기압축기 : 압력방출장치

    4. 금속절단기 : 날접촉 예방장치

    5. 지게차 : 헤드가드, 백레스트, 전조등, 후미등, 안전벨트

     

     

    6. 총 공사금액이 1600억원이며 상시근로자수가 700명인 건설업에서 선임하여야 할 안전관리자 수 산정

     

    공사금액이 1600억원인 건설현장에서 선임하여야 하는 안전관리자의 수는 

    1. 공사금액 ( ① 800억원 ) 이상 ( ② 1500억원 ) 미만의 경우 2명 이상의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며

    2. 공사금액이 ( 1500억원 ) 이상 ( ③ 2200억원 ) 미만인 경우 ( 3명 ) 이상을 선임하여야 하므로 선임하여야 하는 총 안전관리자의 수는 (  ④ 3명 ) 명이다.

     

    7. 화학반응 밸브의 막힘 등 이상상태로 인한 압력상승으로 당해설비의 최고 사용압력을 초과할 우려가 있는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설치하여야 하는 방호장치 중 반응 폭주 등 급격한 압력 상승의 우려가 있는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방호장치

    파열판

     

     

    8. 안전보건교육의 교육시간 

    사무직 종사 근로자 매분기 ( ① 3 ) 시간 이상
    사무직 종사 근로자
    외의 근로자
    판매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매분기 ( ② 3 ) 시간 이상
    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 외의 근로자 매분기 ( ③ 6 ) 시간 이상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 매분기 ( ④ 16 ) 시간 이상

     

    9. 전기화재를 화재의 종류에 따라 분류 적응 소화기 3가지

    1. 분류 : C급 화재[

    2. 적응 소화기 : 분말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로겐화물소화기

     

     

    10. 도수율과 연천인율 계산

     

    근로자 500명

    연간 250일 일일 9시간 근무

    10건의 재해 발생

    6명의 재해자수 

     

    (1) 도수율 = 재해건수 / 총근로시간수 * 10^6 = (10 / 500 * 250 * 9 ) * 10^6 = 8.89

    (2) 연천인율 = 연간재해자수 / 연평균근로자수 * 10^3 = 6 / 500 * 10^3 = 12 

     

    11. FT도 고장 발생 확률 계산

    ①②④의 발생확률은 각각 0.03, 0.37, 0.2, 0.2이다.

     

    G1 = G2 * G3 = ( 0.03 * 0.37 ) * [ 1 - ( 1 - 0.2 ) * ( 1 - 0.2 ) ] = 0.003996

     

     

    12. 허가대상 유해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작업장의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하여야 하는 내용 4가지

    1. 허가대상 유해물질의 명칭

    2. 인체에 미치는 영향

    3. 취급상의 주의사항

    4.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

    5. 응급처치와 긴급 방재 요령

    허인취착응 앞글자만 따서 외움

     

     

    13. 근로자가 소음작업 종사하는 경우에 근로자에게 알려야 하는 사항 3가지

    1. 해당 작업장소의 소음 수준

    2.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증상

    3. 보호구의 선정과 착용방법

    4. 그 밖에 소음으로 인한 건강장해 방지에 필요한 사항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을 준비하는 여러분 열심히 공부해서 합격을 기원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