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2016년 2회산업안전산업기사 2021. 10. 6. 20:40
1. 사업주는 밀폐공간에 근로자를 종사호도록 하는 경우에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의 내용 4가지
1. 사업장 내 밀폐공간의 위치 파악 및 관리 방안
2. 밀폐공간 내 질식 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 위험 요인의 파악 및 관리 방안
3. 밀폐공간 작업 시 사전확인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확인 절차
4. 안전보건교육 및 훈련
2. 거푸집의 설치 해제, 철근 조립, 콘크리트타설, 콘크리트 면처리 작업 등을 위하여 거푸집을 작업발판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의 종류 4가지
1. 갱 폼(gang form)
2. 슬립 폼(slip form)
3.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4. 터널 라이닝 폼(tunnel lining form)
3. 공칭지름이 10mm인 와이어로프의 실제 지름이 9.2mm였다. 양중기의 와이어로프로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
1. 와이어로프의 지름 감소율 = 10 - 9.2 / 10 * 100 = 8%
2. 사용 불가능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 초과하는 것을 사용할 수 없다)
4.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은 안전진단 등 안전성 평가를 하여 근로자에게 미칠 위험성을 미리 제거하여야 한다. 구축물 또는 시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 2가지
1.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인근에서 굴착 항타작업 등으로 침하 균열 등이 발생하여 붕괴의 위험이 예상될 경우
2.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에 지진, 동해, 부동침하 등으로 균열 비틀림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3. 구조물, 건축물, 그 밖의 시설물이 그 자체의 무게 적설 풍압 또는 그 밖에 부가되는 하중 등으로 붕괴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4. 시설물의 내력이 심하게 저하되었을 경우
5.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아니하던 구축물을 재사용하게 되어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하는 경우
5. 근로자가 60분동안 작업할 때의 평균에너지 소비량이 분당 6.5Kcal 일 때 휴식시간과 작업시간
1. 휴식시간 = 60 * ( E - 5 ) / E - 1.5 = 60 * ( 6.5 - 5 ) / 6.5 - 1.5 = 18분
2. 작업시간 = 60 - 18 = 42분
6.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 시행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 2곳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 보다 높은 사업장
2.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4.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7. 산업현장에서 이용되는 컬러테라피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되는 심리에 알맞은 색채 적기
색채 심리 ( 빨간색 ) 열정, 생기, 공포, 애정, 용기 ( 노란색 ) 주의, 조심, 희망, 광명, 향상 ( 녹색 ) 안전, 안식, 평화, 위안 ( 파란색 ) 진정, 냉담, 소극, 소원 ( 보라색 ) 우울, 불안, 우미, 고취 8.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작업장의 조도기준
1. 초정밀작업 : ( 750 )Lux 이상
2. 정밀작업 : ( 300 )Lux 이상
3. 보통작업 : ( 150 )Lux 이상
4. 그 밖의 작업 : ( 75 )Lux이상
* 출제빈도 多
9. 가설통로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이다. 빈칸 채우기
1. 경사는 ( 30 ) 도 이하일 것
2. 경사가 ( 15 ) 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3.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 안전난간 ) 을 설치할 것
4.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 15 )m 이상인 경우에는 ( 10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5.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높이 ( 8 )m 이상인 비계다리에는 ( 7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10. 산업재해예방의 4원칙
1. 예방가능의 원칙
2. 손실우연의 원칙
3. 원인연계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11. 충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시의 접근한계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적합한 접근 한계거리 적기
충전전로의 선간전압(kV)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 한계거리(cm) 0.3 이하 ( 접촉금지 ) 0.3 초과 0.75 이하 30 0.75 초과 2 이하 ( 45 ) 2 초과 15 이하 60 15 초과 37 이하 ( 90 ) 37 초과 88 이하 110 88 초과 121 이하 130 121 초과 145 이하 150 145 초과 169 이하 ( 170 ) 169 초과 242 이하 230 242 초과 362 이하 380 362 초과 550 이하 550 550 초과 800 이하 790 12. 방진마스크에 관한 내용이다. 괄호 속에 적합한 내용 적기
1. 석면취급 장소에서 착용 가능한 방진마스크의 등급은 ( 특급 ) 이다.
2. 금속 흄 등과 같이 열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장소에서 착용 가능한 방진 마스크의 등급은 ( 1급 ) 이다.
3. 베릴륨 등과 같이 독성이 강한 물질을 함유한 장소에서 착용 가능한 방진 마스크의 등급은 ( 특급 ) 이다.
4. 산소농도가 ( 18 ) % 미만인 장소에서는 방진마스크 착용을 금지해야 한다.
5. 안면부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부피분율 ( 1 ) % 이하 이여야 한다.
13. 공기압축기의 서징현상 방지대책 4가지
1. 회전수를 조절
2. 배관 내 경사를 완만하게 한다.
3. 배관 내의 잔류공기 방출
4. 조임밸브를 압축기에 근접해서 설치
5. Air Chamber 설치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필답형을 준비하는 여러분 열심히 공부해서 합격을 기원합니다!!
'산업안전산업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2015년 3회 (0) 2021.10.06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2016년 1회 (0) 2021.10.06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2016년 3회 (0) 2021.10.06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2017년 1회 (0) 2021.10.06 산업안전산업기사 필답형 2017년 2회 (0) 2021.10.06